삼국지 최강의 무력을 자랑하는 여포. 알면 알수록 독특한 매력에 빠지게 된다.
삼국지 게임을 하면 처음엔 유비를 먼저 했었는데 요새는 항상 여포를 고르는 것 같다. 적당한 난이도에 휘하 무장들도 좋기 때문이다.
그러면 파란만장한 인생을 산 여포의 부하들은 누가 있을까?
진궁 : 도겸 지배하의 서주를 침공중이던 조조를 배신하고 조조의 본거지였던 연주지역을 여포가 점령하도록 획책.
거의 유일한 여포군 내 책사. 여포군 멸망 후 진궁은 처형되지만 가족들은 그의 재능을 아까워한 조조가 보호해 준다.
고순 : 함진영으로도 불렸으며, 지휘능력이 뛰어났다. 소패에 있던 유비군을 쳐부셨으며, 구원하러 온 하후돈에게도 승리하였다. 여포군이 멸망한 후 처형당함.
장료 : 말을 다루는 능력이 뛰어났음. 여포군 멸망 후 조조군에 귀순하여 오환족 토벌과 오의 침공을 막는데 지대한 공헌을 세웠음. 오에서는 '우는 아이도 장료가 오면 울음을 그친다'라는 말이 떠돌 정도였음. 촉의 오호대장군에 필적하는 위의 오호대장군(장료, 우금, 장합, 서황, 악진) 중 1인.(다섯 장군 중 필두는 관우에게 항복한 우금이었다.)
위속 : 여포와 친인척 관계로, 여포가 고순의 부대를 맡겼다.(실질적인 지휘는 고순이 함). 진궁을 사로 잡아 조조에게 항복함.
송헌 : 위속과 함께 진궁을 사로 잡아 조조에게 항복함.
후성 : 위속, 송헌과 함께 진궁을 사로 잡아 조조에게 항복함. (조조와의 싸움 중 탈영자를 잡아 포상하는 과정에서 금주령을 어겨 여포에게 처벌을 받게 되고, 그 후 배신할 생각을 굳혔다고 하는데 소설에서의 내용 같음. 정사에서는 찾을 수가 없음.)
학맹 : 여포군을 배신하고 원술군에 동조하나, 고순에 의해 진압당함.
조성 : 학맹의 부하였으나, 학맹의 반란에 동조하지 않았다. 후에 학맹의 부대를 이끔.
장패 : 서주에서 손관, 오돈, 윤례등을 이끌고 큰 세력을 유지하였다. 나중에 조조군에 투항하여 청주, 서주 방면을 맡았다. 원소와의 대전에서 청주 방면을 훌륭히 막아냈으며, 오나라의 침공 또한 막아내었다. 집금오1에까지 올랐으며, 위나라 제1대 황제 조비는 군사에 관한 일을 항상 장패와 의논했다.
손관 : 장패의 부장급으로 조조군에 투항 후, 북해태수에 임명되었다. 장패의 뒤를 이어 청주 자사가 되었음. 손권과의 전투에서 활약하였으나 부상으로 인해 사망. 아들 손육 역시 청주 자사가 되었다.
오돈 : 장패의 휘하에서 활약했으며, 나중에 조조군에 투항하여 이성태수에 임명되었다.
윤례 : 장패의 휘하에서 활약했으며, 나중에 조조군에 투항하였다.
창희 : 여포군 멸망 후에도 서주 동해군에서 저항하였으나, 원소과 조조에게 패한 후 장료의 권유로 투항하였다.(다른 글에는 우금과 장패에게 토벌되었다고도 함)
성렴 : 삼국지 위서 여포전에 '그와 친근하게 지내던 성렴' 라는 글과 위서 무제기에 '용장 성렴을 사로 잡았다'라는 글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여포와 친분이 있었으며, 무용에 뛰어나지 않았을까 추측된다.
참고 서적 : 삼국지 - 진수/신원문화사
- 집금오 : 수도의 치안을 담당. [본문으로]
'나는야 삼국지 오타쿠 >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후 - 삼국지 최고의 지략가 (0) | 2011.09.06 |
---|---|
날개 꺾인 봉황 - 방통 (0) | 2010.11.09 |
화흠 (0) | 2010.11.09 |
순가팔룡 (0) | 2010.11.07 |
사마팔달 (1) | 2010.11.07 |